브라질-김헤빈

안녕하세요! 브라질에서 더 자유롭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학생입니다. '브라질 디저트 레시피 소개'부터, '브라질의 사회 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주제를 가지고, 제 나름의 주관이 담긴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브라질-김헤빈 목록

게시물 검색
브라질-김헤빈 목록
일곱 번째 칼럼 (2)
 (1편에서 이어집니다)     브라질 전역에서 혹은 여타 남미국가에서 온 사람들은 각기다른 방언을 구사하고 있었고 모든 이가 각자 서로의 고향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유쾌한 밤을 보냈었다.  셋째 날: Grutas com Pai inácio셋째 날 아침 일어나 보니 게스트하우스 주인할머니께서 브라질 북동부에만 나는 과일이라며 mangaba주스를 직접 갈아주셨다.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성분 등을 포함하고 있어 약용으로도 자주 쓰인다고 한다. 주스로 먹어본…
일곱 번째 칼럼 (1)
 브라질 바이아의 샤파다 지아만치나 여행기오늘은 아직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브라질 북동부의 Chapada Diamantina(Lençõis)를 소개하려고 한다. Chapada Diamantina는 시원생대 탁상 대지를 상프란시스쿠 강이 관류하면서 만들어 낸 거대한 침식 지형으로 샤파다(chapada)는 가파른 절벽이 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지역은 1985년부터 샤파다지아만치나 국립공원(Parque Nacional da ChapadaDiamantina)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원시생물을 포함한 생태계가…
여섯번 째 칼럼
주제: 언어는 존재의 집이자, 언어의 한계는 자기 세계의 한계이다.“언어는 존재의 집이자, 언어의 한계는 자기 세계의 한계이다.” – 비트겐슈타인영국의 언어철학자,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사용이 우리의 정신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언어의 한계가 곧 사용자의 사고체계를 한정짓는다고 보았다.이런 언어의 정의는 ‘한 사람이 제 2외국어를 구사하는 동안 그의 성격이나 가치관이 해당 문화권의 것처럼 변하는 게 아닐까?’는 호기심이 들게 한다. 이번 칼럼에서는 독특한 포르투갈어 표현을 소개하고, ‘사용자의 사고체계에 영향을 주는 역할’…
다섯번째 칼럼
브라질에서 미국인을 ‘미국인’이라고 불러도 될까? 1.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사람들은 ‘미국(인)’이라는 표현에 예민하다.과연 ‘미국’을 ‘미국’이라 부르고, ‘미국인’을 ‘미국인’이라고 불러도 괜찮은걸까? 이 무슨 엉뚱한 질문인가 싶겠지만 나 또한 브라질에 오기 전까지 미처 생각해보지 못한 주제다. 내 친구들을 포함, 적지 않은 수의 브라질인은 대화 중 ‘미국인’을 ‘americano(american)’이라고 부를 때마다 다소 불쾌한 기색을 보이며“그럼 브라질인은 amer…
네번째 칼럼
<브라질의 Setembro Amarelo 캠페인에 대한 잡다한 지식과 생각들>1.  지난 학기 캠퍼스를 걷다보면, 친구들 배낭에 달린 노란색 리본모양의 열쇠고리가 눈에 띄곤 했다. 처음에는 ‘설마, 세월호 참사가 여기까지 알려진 거야?’라며 놀랐는데, 곧 이곳 브라질에서는 노란색리본이 자살예방운동의 상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2.  Setembro Amarelo(직역 시: 노란 9월)란 세계보건기구(WHO)가…
세번째 칼럼 - 2
여섯 번째. 잃어버린 물건이 있다면 성인, 롱기누스에게 도움을 요청하자!  “도저히 찾아도 나오지 않는 물건이 있다면, 3번 점프하며 상 롱기누스에게 미리 감사를 표하고, 도움을 통해 물건을 쉽게 찾자.” 역사상 이렇게 구체적이고, 특이한 미신이 또 있을까? 아무도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다지만, 그리스도교적인 입장에서의 풀이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세 번’ 점프하는 행위는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에 감사를 드리는 관습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크다. 또 도움을 요청하는 대상인 성 롱기누스는, 주로 브라질…
세번째 칼럼 - 1
브라질의 특이한 미신과 그것이 생겨난 유래    왜 우리나라에는 “밤에 손톱 깎는 거 아니다.”라든지 “깨진 거울을 보면 불행이 온다.” 와 같은 미신들이 있을까? 쓸 데 없는 호기심일 수 있지만, 모든 게 생겨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지 않았을까? 궁금증을 못이겨 각종 포털 및 지식in을 통해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해석들을 접해 볼 수 있었다.밤에 손톱을 깎지 말라고 한 이유는 전기공급이 부족하여, 모든 가정집에서 밤까지 전구를 켜놓기 힘든 때가 있었는데, 어둑한 공간에서 가위로(이 때는 …
두번째 칼럼 -2
사실 비슷한 에피소드가 많지만, 위의 경우처럼 ‘간접적인 모국어 말투’로 인해 발생한 사건을 하나만 더 소개해보겠다. 하루는 친구와 함께 영화를 본 날이었다. 영화관을 나온 뒤, 영화 어땠냐는 친구의 물음에, 나는 머릿 속으로 (그러니까 한국말로) ‘재밌었던 것 같아.’를 포어로 그대로 직역하여, ‘Acho que gosto.(=I think I like it.)’라고 대답하고 만다. 그런데 이 친구는 단순한 취향문제에, ‘Acho que (I think)’를 붙여 대답하는게 퍽이나 이상했던 모양이다. 결국 또 한 …
두번째 칼럼 -1
김혜빈 두번째 칼럼 - 제2의 고향 브라질, 이곳에서 나는 다시 태어났다. (2) 브라질에 온 뒤, 여러가지 문화충격을 겪으며, 당연하다고 믿었던 나의 세상이 조금씩 무너졌다. 그리고 지금은 ‘과연 현재 내가 가진 생각과 가치관이 온전히 내 자유의지로서 판단 한 것들의 결과인가?’라는 반성적 사유를 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그러다보면, 언젠가 내면의 에고 혹은 기존의 비합리적인 프레임에서 완전히 벗어난 가치관을 확립하여, 보다 자유로운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둘째.  그놈의 말 …
첫번째 칼럼 - 2
   (자기주장이 강한 브라질인과 대화하다보면, 때때로 고집이나 허풍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경우도 많다.그래서 브라질인과 협상이나 토론을 할 때는 내 논리를 가지고 자신감있게 설득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런 수평적인 문화는 다음과 같이 대화가시작하는 패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내가 말하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옆에 있는 사람이 누구든지 일단 말을 걸고(면식과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주제로 계속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나간다. 그래서 이곳에서 버스를 타면, 처음 본 옆자리 …
첫번째 칼럼-1
제 2의 고향 브라질, 이곳에서 나는 다시 태어났다. (1) 지구 반대편의 위치부터 음식, 문화, 인종 등한국과는 모든 게 정 반대인 브라질, 이곳에서의 생활은 내 삶의 가치관을 온통 뒤바꿔 놓았고, 그런 의미에서 내게제2의 고향과도 같은 브라질, 이곳에서 나는 다시 태어났다. 자아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던 사춘기 시절, 나는 자아성찰을 통해 내 감정과 생각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습관을 가지게 됐고, 이런 태도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빠른문제해결에도 큰 도움을 주곤 했다.덕분이었을 까, 브라질에서 겪은 여러가지 경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양관 213-1호
031-330-4593~4 / localitycenter@hufs.ac.kr
Copyright (c)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컬리티 사업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