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황희제

안녕하세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 중앙아시아학과 16학번 황희제입니다.

이번 파견학생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 학기 동안 우즈베키스탄에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동아시아인과는 다른 중앙아시아 사람들의 특징과 문화, 그리고 이들의 언어 사용 문화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주로 언어와 문화에 관한 칼럼을 쓸 계획입니다. 감사합니다. 

Title 열 세번째 칼럼
Writer 로컬리티센터 Date 17-12-20 14:16 Read 1,086

본문

우즈베키스탄 안의 자치공화국, 카라칼팍스탄

중앙아시아 5개국 중에서도 가장 중앙에 있는 나라 우즈베키스탄. 면적은 5개국 중에서 그리 큰 편은 아니지만, 5개국 중에서 자치공화국이 있는 유일한 나라이기도 하다. 우즈베키스탄은 타슈켄트 주, 호레즘 주, 부하라 주, 나보이 주, 지라흐 주, 시르다리요 주, 나만간 주, 안디잔 주, 페르가나 주, 수르한다리요 주, 카쉬카다리요 주, 그리고 카라칼팍스탄 자치공화국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 중에서 카라칼팍스탄 자치공화국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카라칼팍스탄(원어 Karakalpakstan)은 우즈베키스탄 서부에 있는 자치공화국이며, 수도는 누쿠스(nukus)이다. 카라칼팍스탄은 소련 시기 1920년대 카자흐스탄의 자치주였으나, 잠시 동안 러시아 연방 공화국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었다가 2년 후에 자치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1936년 자치공화국의 지위를 유지하되, 우즈베키스탄으로 합병되었다. 카라칼팍스탄에는 히바와 아랄해가 가장 유명하다. 히바(Xiva)는 고대 무역으로 번영했던 도시이며 이찬칼라라는 유적지가 아주 유명하여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 중 하나이다. 아랄 해는 원래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였으나 소련 시기 과도한 목화 산업으로 인하여 그 면적이 극단적으로 줄어들어 (원 면적의 10%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에는 사해에 가까울 정도로 파괴되었다. 아랄 해에는 배 무덤과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주목을 받는 곳이다.

 

 카라칼팍스탄에는 카라칼팍민족이 사는데, 이들이 구사하는 언어는 우즈베크어보다는 카자흐어에 가깝다. 카라칼팍족은 우즈베키스탄 북서부 및 이란과 터키에서 주로 거주하며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는 카라칼팍족은 총 52만명으로 추산된다. 카라칼팍 민족의 뜻은 카라+칼팍인데, 카라는 qora, 즉 검정색을 뜻하고 칼팍은 모자라는 뜻이라고 한다. , 카라칼팍 민족은 검은 모자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이름에 걸맞게 검은 양털로 만든 모자를 즐겨 쓴다고 한다. 이들 또한 우즈베키스탄인과 마찬가지로 투르크민족 계통이며 종교 또한 이슬람이다. 그러나 혈통적인 면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인과 다르다. 이들은 이란계 및 몽골계 민족이고, 우즈베크인들은 타직 투르크계 민족이다.

 

86b616d4ce086992dd08047aea6e978b_1513746

 

 카라칼팍스탄은 대부분 사막으로 이루어져있다. 실제로 히바를 방문했을 때, 끝없이 펼쳐지는 황무지 위에 간간히 보이는 마을이 보일 정도로 주변에 산이나 현대식 건축물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카라칼팍스탄은 미발전된 지역이기 때문에 카라칼팍인들은 히바와 우르겐치와 같은 도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급자족하며 살아간다. 과거 아랄 해의 영향으로 어업이나 농업에 주로 종사했다고 한다.

 

 현재 카라칼팍스탄은 수질이 심각할정도로 낮다. 실제로 현지 호텔을 이용할 때, 샤워기에서 나오는 물에도 염분이 높았고 식수로 사용되는 물 또한 염분이 높아 이 곳에서 마시는 차는 대부분 맛이 짜다. 이 때문에 카라칼팍스탄은 히바와 우르겐치 등의 관광도시를 제외하고 대부분 인구가 많지 않다고 한다. 카라칼팍스탄 내에는 자원도 별로 없기 때문에 대부분 관광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그마저도 겨울에는 매서운 바람으로 인하여 여행객이 매우 적어 카라칼팍 주민들은 생계를 위해 카라칼팍스탄을 떠난다고 한다.

 e5674a9398b9cd4bf3bb4d69eff4ab4f_1514258 

 과거에는 아랄해로 인하여 풍요롭고 많이 번성했던 곳이지만, 현재에는 어떠한 자원도 없고 아랄해에 의존하기에는 아랄해가 많이 파괴되었기 때문에 투자를 하는 단체는 거의 없고 NGO 단체에서 도움을 준다고 한다. 아랄해가 사해가 된 이유에는 소련 시기 무분별한 목화산업으로 다량의 수자원이 투입되었기 때문이기에 이는 정부가 해결해야하는 사안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아랄해는 완전 복구되기 힘들다고 말하고 있으니, 이들에게는 아랄해 복구도 중요하지만 더욱 현실적인 방법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양관 213-1호
031-330-4593~4 / localitycenter@hufs.ac.kr
Copyright (c)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컬리티 사업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