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허유중

안녕하세요~ Global-K 4기 리포터 중앙아시아학과 허유중입니다. 저번 3기 리포터에 이어서 이번 4기 리포터로 여러분을 찾아뵙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앞으로 6개월 동안 카자흐스탄 교환학생으로 알마티에 머무를 예정인데요.

 

3기 때 보여드리지 못했던 다양한 주제들을 이번 4기 활동을 통해 여러분에게 선보이려 합니다. 

 

광활한 영토와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카자흐스탄.이제 다시 한 번 길을 열어보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Title 네번째 칼럼(3)
Writer 로컬리티센터 Date 17-09-25 14:35 Read 637

본문

 

2567f3c29fa082934e73331187846195_15063172567f3c29fa082934e73331187846195_15063172567f3c29fa082934e73331187846195_1506317

현재는 추모비 및 기념비가 세워져 있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념비에 나와있는 원동은 멀 원() 동녘 동()으로, 블라디보스토크를 뜻한다. (블라디보스토크의 보스토크 역시 동쪽을 뜨하는 러시아어 단어다.)

이 곳은 원동(블라디보스토크 혹은 연해주 지방)에서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이 193210 9일부터 1933 4 10일까지 토굴을 짓고 살았던 초기 정착지이다.’ 라고 한국어와 러시아어로 표기가 되어있다.

그 맞은편에는 무덤이 있다. 1년간의 토굴생활을 했을 때 돌아가신 분들인가 했지만 묘비에 새겨진 것을 보니 다 그런 것은 아니었다. 대부분 고려인의 무덤으로 러시아어로 적혀있는 것도 있는 반면에 한국어로 적혀있는 것도 있었다.

2567f3c29fa082934e73331187846195_15063172567f3c29fa082934e73331187846195_15063172567f3c29fa082934e73331187846195_1506317

이 글을 쓰면서 궁금한 점이 하나 있었다. 일본 중국 미국 등으로 건너가서 정착한 사람들은 각각 재일교포, 재중교포, 재미교포라고 하며, 만주지역에 정착한 사람들은 조선인 이라고 하는데 왜 강제 이주된 사람들은 고려인이라는 호칭을 쓰게 되었는지가 궁금했다. 그래서 찾아보니

소련 붕괴 이후에 독립국가연함 CIS 지역 저체에 거주하는 한민족이나 그들의 자손들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나도 고려인을 까레이스끼(Корейский)라고 러시아어로 불린다고 알고 있었는데, 사실 러시아에서는 고려인을 까레이스끼라고 부르지 않는다고 한다. ‘고료사람과 비슷한 발음으로 그들을 부른다고 한다.

 

<원래 고려인은 중국, 일본 등 타국의 동포들과 같이 조선인이라고 했지만, 공식적으로 자신들을 고려인이라고 처음 언급한 것은 88서울올림픽 직전인 1988 6전소고려인협회가 결성되면서 부터였다.
그러다가 1993 5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소련 조선인 대표자 회의에서 정식으로 소련 조선인의 명칭을 '고려인'이라고 부르기로 했다. 고려인은 원래 조선인이라고 불렀지만 그 뒤 소련의 정세가 급변하여 한국과 소련이 외교관계를 맺고 또 그곳 조선인들 속에 점차 잘사는 한국의 형상이 주목받으면서 대한민국에서 꺼리는 '조선인'이라는 호칭을 정정해야겠다는 생각에서부터였다. 그런데 '조선인'이라고 하자니 한국에서 꺼려하고 '한국인'이라고 하자니 이북의 감정도 고려하여 '조선인' '한국인'도 아닌 '고려인'이라는 기발한 착상의 신조어를 만들어낸 것이다.>

 

-위키백과 고려인항목 인용

 

 

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 사람이 이주해서 고려인이라느니 등으로 혼동해선 아니된다. 고려에서부터 Korea가 나오게 되었으니 어쩌면 영어가 섞인 Korea()인 셈이다.

나라가 사라져서 그 나라를 되찾겠다고 혹은 살아 남겠다고 다짐한 조선인들은 온갖 수모를 겪어야 했고 목숨도 부지기수로 잃었다. 친일을 해서 편하게 사는 사람들이 있었다면, 반대로 이런 사람들도 있었다. 지금에 와서야 생각해보면 권선징악은 어쩌면 철저한 기만이자 거짓이다. 그저 희망사항을 노래하고 이야기할 뿐이다. 결과적으로 하고 싶은 말은, 강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강하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선 좀더 성찰이 필요할 것 같다. 하지만 더 이상 이런 일련의 수난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강함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정의가 항상 승리하는 이유는 승리한자가 곧 정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간 곳은 우슈토베에 위치한 고려인 학교였다. 지금은 고려인 학교라고 단정지어서 말할 수는 없지만 나름 의미 있는 곳이었다. 다음 칼럼에서는 이 고려인 학교와 함께 낯선 땅에서 정착한 고려인들의 행방을 내가 보고 들은 대로 소개하도록 하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양관 213-1호
031-330-4593~4 / localitycenter@hufs.ac.kr
Copyright (c)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컬리티 사업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