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 일곱번째 칼럼 | ||||
---|---|---|---|---|---|
Writer | 로컬리티센터 | Date | 17-05-25 10:40 | Read | 574 |
본문
멀고도 가까운 나라 인도, 우리 주변에 어디까지 왔니?
우리나라 사람들도 즐겨먹는 카레, 세계 명품 브랜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 패턴 페이즐리, 사람들이 즐겨찾는 립밤인 히말라야, 도로위의 제규어에서부터 랜드로버 쌍용까지. 이번 칼럼에서는 한국에서 찾은 인도에서 유래된 물건과 어떻게 우리가 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도록 하겠다.


커리가 전세계로 퍼져나간 배경은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만들었을 때이다.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만들기 이전에는 영국에는 향신료는 상층민들만 이용하는 사치품 중 하나였다. 하지만 1453년 콘스탄티노플이 튀르크인들에게 함락된 후 교역이 중단되어 향신료는 더더욱 구하기 힘들게 되었다. 영국은 포르투갈이 인도에 먼저 발견한 후에야 인도를 뒤 늦게 발견하게 되었다. 1600년 12월 31일 엘리자베스 1세는 영국 상인 집단인 동인도회사에 인도 무역 독점권을 승인받았고 이를 통해 1797년 영국은 포르투갈이 통치하던 인도의 ‘고아’를 침략해 17년간 통치한 후에 다시 포르투갈에 돌려주었다. 이때 영국은 통치기간에 고아 음식이 영국인들에게 알려졌다. 영국인들은 고아를 떠날 때 고아의 음식과 요리사도 데려갔다. 그리고 영국이 인도를 통치하는 동안 영국인들은 인도음식을 접하게 되었는데 인도 음식들은 대부분이 향신료가 들어가는 향이 강한 음식이었다. 이러한 음식은 영국인들의 입맛에 잘 맞았으며 평소 영국에서 먹던 음식과 다른 이국적인 맛이 있어 영국인들에게 더욱 입맛을 사로잡았다. 영국이 인도의 통치기간이 끝난 후에도 현재 영국인들은 커리를 즐기면서 맛있는 음식으로 선호하고 있다.
현재 커리는 전 세계인이 즐기는 음식이 되었다. 영국으로 건너간 커리는 상인과 교역상, 선교사, 식민지 관리들과 그들의 아내, 계약 노동자와 이민자들을 통해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조금 변형된 형태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커리를 가정집에서도 즐기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번화가에 찾아가면 인도 음식점이 꼭 하나씩은 존재할 만큼 많이 존재하고 있다.이처럼 커리는 인도가 세계를 향해 내놓은 첫 번째 요리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ae01.alicdn.com 페이즐리 문양)
두 번째는 페이즐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페이즐리 문양이 어떻게 생긴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원피스, 핸드백 셔츠 등 많은 옷에 이 페이즐리 문양이 쓰여지고 있다. 물방울처럼 생긴 이 문양은 인도의 망고 혹은 솔방울, 주먹의 옆모양, 사이프러스 나뭇잎, 올챙이 등을 모티브로 나타난 문양이다. 다섯가지의 다른 모티브를 가지고 있을 만음 페이즐리의 기원 또한 무엇인지에 대한 학설 또한 무척이나 다양하다. 이집트의 대추야자 싹을 모티브로 바빌론시대 때부터 발전하였다, 이란의 사산왕조부터 발전하였다, 인도 무갈왕조의 터번 장식이 모티브가 되어 발전하였다는 등 여러 학설이 있다.
이처럼 페이즐리는 바빌론, 이란, 인도등 여러곳에서 오래 전부터 발견되던 문양이기 때문에 그 원산지가 인도라고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필자가 페이즐리는 인도에서 왔어! 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바로 동인도 회사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