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 양가람

안녕하세요^^ Global-K 리포터로 활동하게 된 중앙아시아학과 양가람입니다.
 
작년 9월 교환학생으로서 카자흐스탄에 첫 발걸음을 디딜 때까지만 해도 두려움이 앞섰는데요.
이제는 늘 새로움이 가득한 카자흐스탄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을 넘어서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모습들을 여러분께 전달할 예정입니다.

경험을 바탕으로 늘 정확하고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뵐테니 지켜봐 주세요! 

Title 여섯번째 칼럼
Writer 로컬리티센터 Date 17-05-25 11:01 Read 440

본문

카자흐스탄의 숫자 이야기

 

 

 안녕하세요.:) Global-K network 리포터 양가람 입니다.

 

 한국은 지금 긴 연휴가 끝나고 모두들 일상으로 돌아가 바쁜 생활을 하고 있을 텐데요,

저희는 정기 수업이 모두 끝나고 기말고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곧 한국으로 돌아갈 생각에 들뜨기도 하지만 아쉬운 마음이 조금 더 큰 거 같아요.

 

 현지에서 공부를 하면서 한국에서는 알 수 없었던 현지인들이 주로 쓰는 표현이나 관습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되는데요,

오늘은 며칠 전 수업시간에서 배웠던 카자흐스탄의 숫자 이야기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 

 

 

a852e905931494d672cbb42ba8331246_1495677

 

 

 카자흐스탄에는 숫자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만든 문화들이 있는데요. 이는 카자흐 민족의 전통, 미신, 속담 등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사람이 태어나고 죽기 까지 모든 삶을 숫자와 관련지어 표현하는 것은 <<Тоғыз ай, он күн көтеру 9개월 10일 동안의 기다림 - 아기가 태어나기까지 9개월 10일 동안 기다리는 것>>, <<Қырқынан шығару 40일 이후의 외출 - 아이가 태어나고 40일 이후에 밖에 나가는 것>>, <<Үшін беру 삼일제 - 사람이 죽고 나서 3일 만에 지내는 제사>>, <<Жетісін беру 7일제 - 사람이 죽고 나서 7일 만에 지내는 제사>>, <<Қырқын беру 40일제 - 사람이 죽고 나서 40일 만에 지내는 제사>>, <<Жылын беру 1주기 - 사람이 죽고 나서1년 만에 지내는 제사>> 등과 같은 전통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다음 칼럼에서 좀 더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카자흐 민족들은 숫자를 시간과 크기를 나타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일정한 사고, 의미도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 2는 달과 해, 낮과 밤, 보충과 완성을 상징합니다. 또한 좋음과 나쁨, 흑과 백, 여자와 남자 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서 두 개, , 쌍이라는 의미가 있는데요, <<егіз 쌍둥이>> 라는 단어는 숫자 2 <<екі>>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사실 이는 카자흐스탄 뿐 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 해당되는 이야기이긴 합니다.:)



 

a852e905931494d672cbb42ba8331246_1495677a852e905931494d672cbb42ba8331246_1495677a852e905931494d672cbb42ba8331246_1495677



 이와 더불어 신성시하는 숫자들로는 <<3, 7, 9, 40>>이 있는데요, 이 숫자들을 이용한 특별한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

 

 

 숫자 3 <<Үш жүз 쥐즈(전통정치제도): Ұлы жүз 대쥐즈, Орта жүз 중쥐즈, Кіші жүз 소쥐즈>>, <<Үш тәтті 3가지 고결한 것: Жан тәтті 영혼, жар тәтті 동반자, мал тәтті 가축>>, <<Үш қуат 3가지 힘: ақыл 지혜, жүрек 마음, тіл >>,  <<Үш байлық 3가지 부: денсаулық 건강, ақ жаулық 배우자, он саулық 열 손가락>>

 

 숫자 7 <<Жеті ғалам 7가지 세상 - Шығыс 동쪽, Батыс 서쪽, Оңтүстік 남쪽, Солтүстік 북쪽, Аспан 하늘, Жер , Жер асты 지하>>, <<Жеті жұт 7가지 재앙 - Құрғақшылық 가뭄, Жұт 기아, Өрт 화재, Оба 전염병, Соғыс 전쟁, Топан су 홍수, Зілзала 지진>>, <<Жеті ата 자신으로부터 7대 조상까지를 일컫는 말로 카자흐 민족들은 이 7대 조상 모두의 이름을 외우는 것이 필수이다>>

 

 숫자 940은 인간의 창조와 관련되어있는데요, 엄마의 뱃속에서 9개월 10일 동안 자라는 것, 40주의 시간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카자흐 속담에서는 숫자를 이용하여 사람과의 관계, 선과 악, 연대감, 지혜, 삶 등 다양한 사고를 나타냅니다.

 <<Жеті рет өлшеп, бір рет кес. 곱 번 재고 한번 자른다. ;많이 생각한 후 일을 실행해야한다.>>, <<Бір жылы сөз-бір күнге азық. 1년 동안의 말-하루를 위한 음식. ;항상 좋은 말을 해야 한다.>>, <<Екі жақсы қас болмас, екі дұшпан дос болмас. 좋은 두 사람은 원수가 될 수 없고, 두 원수는 친구가 될 수 없다.>>, <<Бес саусақ бірдей емес. 다섯 손가락은 모두 제각각이다. ;모든 사람은 다 제각각이다.>>. <<Жеті жұрттың тілін біл, жеті елдің сырын біл. 일곱 무리의 언어를 알면 일곱 나라의 비밀을 알 수 있다.>>, <<Жеті атасын білмеген-жетесіз. 7대 조상을 모르는 사람은 생각이 없는 사람이다.>>, <<Ханда қырық кісінің ақылы бар. 영혼에는 40명의 지혜가 있다. ;지혜로워야한다>>

 

 또 특별한 것은 우리나라나 중국에서 숫자 4를 죽음의 숫자, 서양에서는 숫자 13을 불길한 숫자로 생각하여 병원이나 공항 게이트에서 이에 관한 숫자를 찾아 볼 수 없는 것과는 달리 카자흐 민족들은 나쁜 의미를 상징하는 숫자는 없습니다. 이는 긍정적으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카자흐 민족들의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이번 칼럼에서는 숫자를 이용한 다양한 표현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는데요, 실제로 이러한 표현들이 많이 사용되고 카자흐 민족들의 기본 관념으로서 작용된다고 하니 잘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카자흐스탄의 전통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양관 213-1호
031-330-4593~4 / localitycenter@hufs.ac.kr
Copyright (c)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컬리티 사업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