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 [기사] 한국형 공간정보 아프리카·유라시아 `한류` 바람…1000억원 사업 수행 | ||||
---|---|---|---|---|---|
Writer | 로컬리티센터 | Date | 16-02-19 11:17 | Read | 4,960 |
본문
한국형 공간정보가 아프리카·유라시아에서 한류 바람을 일으킨다. 아프리카 땅에 묻힌 광대한 지하자원을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관리해 경제 발전 기틀을 마련한다. 유라시아 국가 공간정보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국토 개발을 지원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유엔(UN)·월드뱅크와 아프리카 자원공간정보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고 18일 밝혔다. 아프리카 지하공간정보 구축 참여는 유엔 요청으로 이뤄졌다. 유엔과 월드뱅크 예산이 투입돼 사업 규모는 최대 1000억원에 이른다.
아프리카에는 다양한 지하자원이 방대하게 매장됐다. 54개국이 참여한 아프리카연합(AUC)은 자원비전을 수립하고 개발을 추진했다. 상당수 국가는 매장된 지하자원을 파악하지 못해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다. AUC는 대책으로 자원공간정보 구축을 협의했다. 월드뱅크 타당성 조사와 유엔 주도 프로젝트 계획도 수립했다. 유엔은 지난해 한국에 사업 참여요청을 했다.
올해 공적개발원조(ODA)와 다자기금(MDTF)을 활용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대상은 모잠비크·잠비아·탄자니아다. 우리나라 기술로 기존 자료를 공간정보화한다. 다축적 지형도, 광상지질도, 물리탐사도, 통합데이터베이스(DB)·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한다.
클라우드 전산장비 도입과 교육센터를 구축한다. 국내위성영상 적용과 전문가 유엔DB센터 파견도 추진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세계은행 예산으로 확산 사업을 수행한다. 아프리카 남부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자원공간정보체계(MSDI)를 구축한다. 경쟁국 캐나다·영국·미국 등도 기금지원과 함께 사업 참여를 추진한다. 최병남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아프리카 공간정보 표준과 시장 선점을 위해 선제적 참여와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간정보 시스템통합(SI)·SW 기업 동반진출도 기대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프로젝트 수주, 협약까지 담당한다. 실질적 사업 수행은 국내 업체가 맡는다. 과거 아프리카 국가와 직접 계약하는 방식과 다르다. 유엔과 월드뱅크가 주도해 사업이 안정적이다. 월드뱅크는 개발도상국 지질도면구축에 연간 수천억달러를 투자한다. 아프리카 자원을 확보해 담보형 민관협력 사업 발굴도 가능하다.
유라시아 사업도 확대된다. 해당 국가는 경제개발을 위해 토지 소유권 관리가 시급하다. 궁극적으로 토지정보시스템 구축이 목표다. 한국형 토지정보시스템(KLIS) 수출 가능성이 높다. 4개국 토지정보시스템 구축 사업규모는 수백억원대다. 최 원장은 “한국형 공간정보시스템 수출 협약을 적극 추진한다”며 “IT서비스·SW기업과 협력해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료:국토지리정보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