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ity Summer School

해외학생 초청 Inbound 프로그램 ‘Locality Summer School’

‘Locality Summer School’은 광역특화전공의 각 지역별 외국인 학생들을 한국으로 초대해 광역특화전공생들과 함께 진행하는 문화교류의 장으로써 서로의 언어와 문화를 탐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광역특화전공 학생들은 외국인 학생들을 통해 자신이 공부하는 지역의 특수성과 문화적 특징들을 몸소 체험할 수 있으며, 외국인 학생들과 함께 최대 8일간 합숙하면서 현지인을 미리 접하고 로컬리티 현지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게 됩니다.

외국인 학생 1인당 한국인 학생 3~4인이 이루어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Title [활동보고서 - 동아시아트랙] 너나들이팀 5
Writer 로컬리티센터 Date 17-07-17 12:48 Read 4,178

본문

. 다문화가정의 문제

1) 가족구성원들 간의 갈등

) 원인

(1) 남편과의 불화

() 가정폭력

 2010년 여성가족부의 가정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 발생률은 70.4%로 일반 가정(53.8%)보다 크게 높았다. 또한, 서울이주여 성상담센터의 20164월 통계를 따르면 가정폭력 8.2%, 부부갈등 11%, 이혼문제 15.8%35%가 가정폭력 및 부부 간 갈등의 상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부분 국제결혼은 짧은 시간에 만나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 을뿐만 아니라 언어에서 오는 소통장애로 인해 많은 갈등을 빚고 있다.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기에 인격적 존중의 부재와 한국으로 이주했으니 한국 것만 따르라라는 식으로 순종을 강요하고 의사소통의 장애 와 대화의 부족함에서 오는 문제로 가정폭력이 발생하고 있다.

() 나이 차이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미성년 여성 혼인신고에서 외국 여성이 차지하는 비 중은 35%로 높은 편이다. 또한 미성년 여성이 결혼한 상대 남성의 평균 연령은 한국인의 경우 만 21.3세임에 비해 외국인은 만 36.6세였다. 또래 끼리 만나 계획보다 이른 결혼 하는 한국인의 사례와 달리 외국인은 소개 등을 통해 나이 많은 성인 남성과 결혼하는 사례가 많다는 분석이다. 실제 미성년 외국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남편들은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만 19 세 이상 성인이었으며 남편과 부인의 나이 차이는 평균 19.7세로 매우 높 은 편이었다.

 또한, 나이 차이는 농촌과 도시 지역으로 나뉘어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여성결혼이민자가 배우자로 맞은 한국 남성들은 주로 농촌 지역의 남성들 이 도시지역에 비해 3배 많고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가 30대인 것에 비 해 남성들은 30-50대 이상의 연령층으로 10살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가 전체의 34%를 차지했다.

 많은 나이 차이는 곧 세대 차이로 이어져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를 야기한 다. 또한 나이가 많은 남편의 은퇴 후 경제생활을 책임지게 될 가능성이 큰 만큼 많은 외국인 부인은 이로 인한 고민과 갈등이 크다.

  또한 부부의 나이 차이는 이혼비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베 다문화 가정 의 이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법률 적용 연구에 따르면 2000년 당시 6.9세이던 부부의 나이차이가 201012.1세로 증가했으며 그 중 다수의 부부가 이혼한 것으로 나타난다.

 

() 가정 형편

2015년 다문화가족 실태 조사에 따르면 월평균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11%, 100~200만 원인 가구 30.9%, 200~30031.4%, 300~40020.5%, 400~5009.4, 500~6004.2%, 그리고 600만 원 이상은 2.9%로 나타났다. 2012년 대비 대부분소득 이 증가했지만 600만 원 이상인 가구는 감소했으며 100 만 원 미만인 가구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정 수입이 없는 일반가정은 남편이 58.9%, 아내 가 76.5%였으나 다문화가정은 한국인 남편은 64.5%, 외국인 아내는 92.4%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재산이 없는 경우도 일반가정보다 높아 경제적 빈곤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경우 넉넉하지 않은 가정형편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가족 간의 불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론이다.

 

() 교육수준의 차이

교육수준 차이도 갈등요인 중 하나로 꼽혔다. 일반가정은 최종학력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비율이 남편과 아내가 각각 7.4%, 7.6%로 비슷했지만 다문화가 정의 경우 남편이 10%, 외국인 아내가 5.1%2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 일 반가정과 비교하면 다문화가정의 경우 남편의 교육수준이 외국인 아내에 비해 낮다는 얘기다.

 

(2) 시어머니와의 불화

한국사회는 오랜 시간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효 의식을 강조해 왔고, 일방적으 로 희생하며 봉사하는 며느리와 그에 대해 통제권과 권위를 행사하는 시부모 간의 수직적인 고부관계를 형성해왔다. ‘시집살이라는 표현에서도 나타나듯이,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힘들게 만드는 부정적인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며, 다른 문화권에 살던 며느리가 그 동안 전혀 겪어보지 못한 시집살이를 하면서 큰 갈등을 겪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고부간의 갈등이 문제가 되는 이유 는 결혼이 단순히 남편과 아내만의 결합이 아닌, 집안의 결합이기 때문이다. 고부갈등이 발생하면, 가족 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끼쳐 집안 분위기를 좌우하 기 때문이다.

고부갈등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는 언어장벽으로 인하여 쌍방향적인 의사소 통이 되지 않는 점이다. 한국의 시어머니들은 대개 나이가 많아서 한국어 외 에 영어나 제 2외국어를 터득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베트남에 서 한국으로 이주해 온 베트남 신부들도 최종학력이 대부분 고졸이기 때문에, 한국어 수준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이런 상태에서 전혀 다른 문화권의 며느리를 맞이하게 되었을 때, 서로가 의도하지 않은 전달로 인해 오해가 쌓 여 고부갈등으로 커질 수 있다.

또 환경적으로도 다문화 가족 며느리의 다수가 유교적이고 가부장적 가족 관 념이 남아있는 시부모를 모시고 사는 경우가 많다. 이 때, 가족관계에 있어 서도 효를 중시하고 위계서열과 남녀의 역할이 명확한 시어머니의 입장은 경 제적으로 독립적이며 어떤 문제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던 베트남 여성에 게는 불편하고 받아들이기 힘든 경우가 많다.

 

) 결과

(1) 가출과 별거

2016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에 따르면 2014년 다문화가정 이혼 상담통계 결과 아내가 외국인인 747쌍의 다문화 가정 가운데 34.7%259쌍의 부부가 별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 아내와 살고 있는 한국인 남편 10명 중 3~4 명은 별거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또한 별거 기간 또한 5년 이상의 경우가 전 체의 44.8%로 절반에 육박했다.

가정 내 문제와 관련해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 한국인 남편은 아내의 가출에 대 해 31.2%로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그러나 그 근본적인 원인은 한국인 남편 이 외국인 아내를 성적인 대상이나 부모 병수발, 농촌일손 등에 동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아내의 입장에서 상담을 요청한 경우, 28.7%가 남편이나 시댁 식구로부터 폭행 등 부당한 대우를 받았기 때문 에 가출을 결심했다고 응답하였다. 조사에 응답한 사람 중 베트남 국적을 가진 아내는 전체의 13%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중국 다음으로 높은 비율이다.

(2) 이혼

 

2011

1,931

2012

1,992

2013

2,057

2014

1,821

2015

1,480

 

 

2014년 하노이에서 열린 -베트남 국제결혼 다문화 정책 토론회에서 설동훈 전북대 교수는 양국의 결혼 건수가 매년 감소하는 반면, 이혼건수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2013년에는 이혼 건수가 처음으로 2천 건 을 넘어서면서 다문화 가족의 대량해체의 모습을 보인다고도 말하였다. 이는 2000년 단 1건에 그친 양측의 이혼건수가 2013년에는 257건으로 늘어난 모습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고 하였다.

 <통계청, 2015년 결혼과 이혼 통계>

 

2) 자녀 교육의 어려움

) 원인

(1) 부모의 교육수준

결혼 이주 여성은 대부분 농촌 출신이기 때문에 교육 수준이 높지 않으며 아 이의 교육은 한국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한국어 수준이 낮아 아이의 교육에 큰 도움을 주기 어렵다. 또한 한국인 아버지는 대부분 고소득자가 아니며 농 촌 지역 출신이기 때문에 생계의 문제로 인해 아이의 교육에 관심이 적으며 교육 수준 또한 높지 않는 경우가 많다.

(2) 가정형편

2012, 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녀 1인 당 총 양육비는 38964000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청 및 교육부 의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42,000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위의 부부간의 갈등에서 제시한 소득 수준에 따르면 아이의 사교육비가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아이의 교육 기회 박 탈로 이어질 수 있다.

<p class="0" styl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양관 213-1호
031-330-4593~4 / localitycenter@hufs.ac.kr
Copyright (c) 2024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컬리티 사업단. All rights reserved.